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9번째 포스팅에 이어서 구멍을 뚫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구멍 기능은 5번째 포스팅(스윕 예제 편)에서 한번 언급했었습니다.
조금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9번째 포스팅 마지막 상태에서 시작하겠습니다.
엔지니어링 탭에 보이는 구멍을 한번 눌러보겠습니다.
구멍 메뉴에 들어왔습니다. 처음보는 친구들이 많습니다.
위쪽의 메뉴에 처음보는 그림들이 있습니다.
왼쪽은 구멍(hole)으로 뚫습니다.
오른쪽은 나사구멍(TAP)으로 뚫습니다.
왼쪽은 구멍 끝이 평평하게 되는 이론적인 구멍입니다.
중간은 실제로 가공되는 구멍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카운터보어와 카운터싱크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은 스케치로 구멍을 만들어냅니다. 왠만해서는 이 기능 까지 쓰이진 않습니다.
그 밑에 보이는 메뉴중에 형태를 눌러보겠습니다.
구멍의 형태를 지정할 수가 있습니다.
중간메뉴를 클릭해보겠습니다.
그 오른쪽으로 새로운 메뉴가 나타났습니다.
맨오른쪽 두개가 구멍의 형태입니다.
저희는 카운터 보어(깊은자리파기)를 내야하므로 맨오른쪽을 클릭합니다.
형태가 바뀌었습니다. 여기서 치수를 넣어주시면 되겠습니다.
블라인드로 되어있는 것을 전체 통과로 바꾸겠습니다.
그러면 전체 통과되는 구멍이 만들어집니다.
각각 치수를 넣어주시고
형상 아무곳이나 클릭 해보면 저렇게 구멍이 보이게 됩니다.
하지만 이대로는 초록색 체크가 활성화되지 않습니다.
구멍이 배치되는 기준을 설정해주어야 되는데요
배치를 눌러보겠습니다.
중간에 오프셋 참조 부분이 있습니다.
오프셋은 '기준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있는지'입니다.
'여기를 클릭'을 눌러봅시다.
항목을 선택하라고 합니다. 저희는 모서리를 기준으로 25씩 떨어진곳에 구멍을 위치시키면 되겠습니다.
한쪽 모서리를 클릭합니다.
다른 모서리를 선택할 땐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선택합니다.
그러면 배치 창에 치수를 설정할 수 있게됩니다.
각각 25씩 줍니다.
그러면 완성입니다. 초록색 체크를 누르고 나오세요.
바로 구멍을 하나 더 뚫겠습니다. 똑같은 과정으로 가는데 이번엔 카운터 싱크(접시자리파기)를 선택합니다.
형태창을 보니 구멍이 어떻게 뚫릴지 미리 알 수 있습니다.
전체통과, 각각의 치수를 넣습니다.
(*카운터 싱크의 지름이 12가 아니고 15였네요.. 15로 진행 해주세요)
마찬가지로 형상 아무곳이나 클릭한 후 배치를 들어옵니다.
오프셋 참조를 시작하겠습니다.
항목을 선택하라고 합니다.
오프셋 참조 기준은 점, 선, 면 모두 가능합니다.
이번엔 면으로 선택하겠습니다.
형상을 십자형태로 가로지르는 두평면을 선택합니다.
마찬가지로 ctrl 키를 누르면서 두개를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치수를 다음과 같이 넣습니다. 40은 피치원 지름 80의 반지름에 해당하겠습니다.
구멍이 모두 뚫렸습니다.
이제 이 구멍을 여러개 뚫으면 형상이 완성되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패턴을 사용해보겠습니다.
도움 되셨다면 광고 한번씩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Engineering > PTC Creo'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eo 3.0] 12 - 시스템 색상 바꾸기 (0) | 2017.11.30 |
---|---|
[creo 3.0] 11 - 패턴 (0) | 2017.11.30 |
[creo 3.0] 9 - 라운드&모따기 (0) | 2017.11.30 |
[creo 3.0] 8 - 스윕 블렌드(sweep blend) (2) | 2017.11.30 |
[creo 3.0] 7 - 블렌드(blend)(2) (0) | 2017.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