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저번 포스팅에 이어 블렌드를 이어서 해보도록 하겟습니다.


저번 포스팅 마지막에 회전으로 더 빠르게 형상을 만드는 것을 보여드렸습니다.


그럼 블렌드가 아니고서는 만들 수 없는 형상을 한번 만들어 보겠습니다.



한쪽은 사각형 한쪽은 원인데 그 사이에서 나선형으로 비틀어져 있는 형상이 있습니다.


이런 형상은 블렌드가 아니면 도저히 만들 수가 없습니다.


한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블렌드에서 단면을 선택하고 스케치 평면을 선택하는 것은 동일합니다.


이번엔 FRONT 평면을 선택했네요



우선 사각형을 그리겠습니다. 저는 정사각형으로 치수는 상관없이 그렸습니다.

확인을 누르고 스케치화면에서 나옵니다.




마찬가지로 '단면'탭을 누르고 거리를 150정도로 설정하고 스케치를 눌러보겠습니다.



이렇게 원을 하나 그려줍니다.


하지만 이렇게만 하면 오류가 생기면서 생성이 안됩니다.


이유는 단면의 모양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사각형은 네개의 꼭지점이 있고 원은 꼭지점이 없어서 


사각형의 네개의 꼭지점에서 뻗어나온 블렌드 서피스가 어디를 기준으로 도착을 할지 판단을 못하기 때문입니다.


이유는 사실 크게 중요하진 않습니다만 중요한건 다음과 같습니다


'n각형 단면과 원 단면을 혼용할땐 원을 n등분 해주어야 한다.'


나눠 보겠습니다.



우선 중심선을 두개 그려보겠습니다.



회전을 다루던 포스팅에서 중심선 그리는 방법에대해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생략하겠습니다.


이렇게 임의의 중심선을 그리겠습니다.


저희가 생성하지않은 뒤의 분홍색 점선은 아까 저희가 그린 사각형에 의해 생긴 선입니다.



중심선의 각도를 45도, 135도로 설정합니다.



원을 4개의 점으로 나눠줘야겠습니다.


이 기능은 '분할' 기능으로 이루어집니다.



원과 중심선이 만나는 네 지점을 클릭합니다.


여기서 순서도 중요합니다. 


만일 왼쪽 아래를 먼저 선택하면 형상이 비틀어지는 형상이아니고 올곧게 뻗어진 형상이 나오게 될것입니다.


이건 궁금하신 분은 직접 한번 해보세요.


저는 왼쪽 위의 점부터 분할하겠습니다.


확인을 누르고 나옵니다.



형상이 생겼습니다.


돌려보니 너무 짧은것 같습니다.



길이를 150에서 300으로 늘렸습니다

초록색 체크를 누르고 나와보겠습니다.



형상이 완성되었습니다.


이런 형상은 밀어내기, 회전, 스윕으로는 절대 만들 수가 없습니다.


블렌드는 이런 형상을 만들기 위해 있는 기능이 되겠습니다.


또한 부드럽게 서피스를 이어주는 형상같은 것에도 사용이 됩니다.


기계 쪽에서는 주로 사용되진 않습니다만


산업 디자인 같은 곳에서는 꽤 쓰이는 것 같습니다.


샴푸통이나 콜라병같은 것이 블렌드로 모델링 하면 딱 알맞는 형상입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모델링하는데 쓰이는 마지막 기능인 '스윕 블렌드'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


도움 되셨다면 광고 한번씩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블렌드 기능을 써볼까 합니다.


사실 지금까지 보여드린 기능만으로도 왠만한 도면은 다 커버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항상 인생은 고통의 연속이고 고난의 연속이죠..


새로운 문제는 항상 저희를 괴롭힙니다.


그 문제를 대비하기 위해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이 블렌드 기능은 단면과 단면, 그 단면사이의 거리로 형상을 모델링해주는 기능입니다.


아래 형상을 한번 볼까요



이렇게 원뿔 두개를 뾰족한 부분을 잘라서 합쳐놓은 형상(말로 설명하려니 매끄럽지않네요..)을 보시면


회전으로 빠르게 그릴수도 있지만


굳이 블렌드 한번 써보겠습니다.



이 메뉴중에 형태에 들어가면 스윕이 있습니다.


바로 위에 보이는 스윕 블렌드는 다음 포스팅에서 만나보도록할께요



블렌드 편집 창에 들어왔습니다.


지금까지 봐 온 편집창과는 조금 다르게 생겼습니다.


당황하지 않고 빨간색으로 표시된 '단면'탭을 누르겠습니다.



여기서 단면을 스케치할수 있습니다


오른쪽에 보이는 정의를 누르겠습니다.



이 창은 앞에서도 몇번 본것 같네요.


스케치 평면을 설정하는 창입니다.



저는 TOP 평면을 선택했습니다.


스케치를 누르겠습니다.



스케치화면에 지름 160 원을 그리고 확인을 누릅니다.



아직 아무것도 생성되지않았습니다.


당황하지 마시고 아까 처음에 눌렀더 '단면'탭을 누르겠습니다.



단면 2가 자동으로 생겼습니다.


오른쪽에 숫자를 기입할 수 있는 것이 생겼네요


이 치수는 단면과 단면사이의 거리입니다.


그러니까 원통의 높이가 되겠죠



100을주고 스케치를 누릅니다.



스케치화면이 생성됬습니다.


이 스케치 화면은 두번째 단면을 만드는 화면입니다.



지름 80 원을 그리고 확인을 누르겠습니다.



형상이 하나생겼습니다. 하지만 저희는 위에 하나 더 얹어야합니다.


'단면'탭을 누르겠습니다.



아까와 달리 단면3이 자동으로 생성되지 않습니다



삽입을 눌러 단면 3을 생성시켜보겠습니다.



단면2와 단면3까지의 거리는 80으로 설정하겠습니다.


치수 밑에 스케치를 누릅니다.



지름 100 원을 그리고 확인을 누르고 나옵니다.



형상이 만들어지긴했는데 부드럽게 이어져있습니다.


보기에는 좋으나 저희의 목표와는 다른 모양입니다.

'단면'탭 옆에 있는 '옵션'탭을 누르겠습니다.




블렌드 서피스가 부드럽게로 되어있습니다


이걸 보니 단면과 단면사이을 이어주는 곡면을 블렌드 서피스라고 하나 봅니다.


직선으로 바꿔보겠습니다.



초록색 체크를 누르고 나옵니다.



저희가 하려던 형상이 완성되었습니다.


그런데 블렌드를 하다보니 작업이 좀 돌아가는 느낌입니다.


저런형상을 맞닥뜨렸을 때 빠른 작업을 원하신다면


블렌드보다 '회전'이 먼저 떠오르셔야 됩니다.




회전은 이처럼 회전단면 한번 그리는것으로 형상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그럼 왜 이렇게 굳이 돌아서 형상을 만드는 기능이 있는 걸까요?


그건 다음 포스팅에서 이어서 하도록 하겠습니다.ㅎㅎ


고생하셨습니다.




도움 되셨다면 광고 한번씩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저번 포스팅 마지막에 올려드린 도면을 가지고 한번 만들어볼게요


캡쳐본으로 올려보려고했는데 사진이 너무 길어져서... 동영상으로 대체하겠습니다.


첫번째로 이 형상입니다.




작업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스케치에서 지름 52짜리 원을그린다.

2. 4분의 1면만 남기고 나머지는 세그먼트 삭제를 하여 경로 스케치를 완료한다

3. 스윕으로 지름 29짜리 파이프를 만든다

4. 파이프의 각 끝면에 한변의 길이가 36인 정사각형을 두께 5만큼 밀어내기한다

5. 스윕으로 내부 구멍을 뚫기 위해 1번에서 스케치한 방향으로 다시 스케치한다

6. 지름 52짜리 4분의 1면을 그리고 양끝으로 5만큼씩 선을 연장시킨다

7. 스윕으로 지름 21짜리 단면을 그리고 재료제거를 한다.

8. 정사각형 판에 지름 3짜리 구멍 네개를 밀어내기 재료제거 한다

9. 8번의 구멍에 지름 6, 깊이 1짜리 구멍 네개를 밀어내기 재료제거 한다

10. 반대편 정사각형 판에 8,9번을 반복한다.


최소한의 기능을 써서 만들다 보니 작업이 좀 길어지게 되었습니다.


아래는 기능을 최대한 활용해서 만들어본 영상입니다.




작업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스케치에서 지름 52짜리 원을그린다.

2. 4분의 1면만 남기고 나머지는 세그먼트 삭제를 하여 경로 스케치를 완료한다

3. 스윕으로 바깥원 지름 29, 안쪽원 지름 21짜리 중공 파이프를 만든다 (영상에서는 좀 얼타서 후에 단면을 고쳤습니다..)

4. 양쪽 플랜지(직사각형 판)의 대칭평면을 만들기위해 RIGHT 평면에서 45도 중심선을 그린다

5. 스케치화면에서 나와 평면 아이콘을 선택하고 4번의 중심선과 RIGHT 평면을 선택후 각도를 90도로 설정한다

6. 파이프의 한쪽면을 선택하여 한변의 길이가 36이고 정가운데 지름 21짜리 구멍이 있는 두께 5짜리 플랜지를 밀어내기한다.

7. 구멍 기능을 사용하여 카운터보어 구멍을 낸다(추후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8. 패턴을 사용하여 4개의 구멍을 패턴화 시킨다(추후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9. 6-8번의 피쳐를 모두 선택하여 5번에서 만든 평면에 대칭복사시킨다.


조금 더 많은 기능을 사용해서 복잡해보이고 좀 더 어려워 보이긴 합니다.


하지만 작업시간을 보면 첫번째 영상은 한쪽 플랜지를 완성시키지 못했는데도 5분이 걸렸고


두번째 영상은 3분이 걸렸습니다. 3번에서 어버버하지만 않았어도 2분대에 작업이 완료되엇겠네요


연습만이 살길입니다..







다음은 볼트입니다.


M16 짜리 볼트를 만들어보기로 했는데요 L치수와 볼트 머리에 모깍기 에대한 치수가 안나와있네요


L은 45, 모깍기는 각도 15도 긴변 3으로 하도록 하겠습니다.


 


작업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스케치화면에서 팔레트 메뉴에서 6각형을 그려주고 C치수(27.7)을 넣는다

2. 두께 10으로 밀어내기 한다

3. 밑면에 지름 16짜리(M16) 원기둥을 길이 45로 생성한다.

4. 볼트 옆면과 평행하고 정중앙을 지나도록하는 평면을 만들기위해 평면 메뉴를 누르고 중심선을 누르고 FRONT나 RIGHT평면을 누르고 각도를 넣어준다

5. 4번에서 만든 평면에서 회전 피쳐를 만들기 위해 볼트 경계선을 참조로하고 긴변의 길이 3 15도 각도의 삼각형을 그리고 재료제거를 한다.

6. RIGHT평면에서 원기둥의 중앙에 중심선을 그리고 원기둥의 경계선에 38길이의 선을 그린다

7. 헬리컬 스윕을 선택하고 단면을 그린다. 단면은 원점 좌표축에 대칭인 삼각형으로 그린다.

8. 피치를 2로 설정하고 재료제거를 설정하여 완성한다.


여기까지 완성하셨으면 정말 잘하신겁니다.


이제 여러분들은 어떤 형상이 나와도 만들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제 어떤 기능을 적절하고 효율적으로 쓰느냐에서 실력의 차이가 생기게 될것입니다.


기능 자체는 어렵지 않습니다만 적용하는 부분에서 난이도가 발생합니다.


차근차근히 하시다보면 충분히 해내실겁니다


고생하셨습니다.




도움 되셨다면 광고 한번씩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Engineering > PTC Creo'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eo 3.0] 7 - 블렌드(blend)(2)  (0) 2017.11.30
[creo 3.0] 6 - 블렌드(blend)(1)  (0) 2017.11.30
[creo 3.0] 4 - 스윕 & 헬리컬스윕  (0) 2017.11.30
[creo 3.0] 3 - 밀어내기&회전 예제  (2) 2017.11.30
[creo 3.0] 2 - 회전  (0) 2017.11.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