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어셈블리 두번째 구속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한 어셈블리는 완전고정이라면
이번 핀구속은 움직이도록 구속을 해주는 차이가 있습니다.
앞으로 하는 어셈블리 구속은 전부 움직임을 구속해줍니다.
움직임마다 차이가 있을텐데 이 핀구속은 '회전'부분에 쓰입니다.
바퀴가 돌아가거나 축이돌아가거나 경첩이 움직이거나 관절이 움직이거나
회전반경이 생기는 구속에는 무조건 이 핀구속을 사용합니다.
한번 사용해보겠습니다.
우선 아래의 두개 파트를 만들어주세요
▼파트 생성 영상
어셈블리과정은 아래 동영상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동영상에 대한 설명은 그 아래 사진부터 시작합니다.
▼ 핀구속 어셈블리 영상
사진으로도 한번 보겠습니다.
우선 어셈블리 파일을 하나 생성합니다.
단위 변경에 주의해주세요
16번 폴더에 1번 2번 파트를 만들어놨습니다
우선 1번 파트 파일을 불러오겠습니다.
1번 파트를 불러왔습니다.
베이스 판이 될 파트이기 때문에 기본값으로 주고 구속을 마치겠습니다.
바로 2번 파트를 불러오겠습니다
왼쪽 위를 보시면 핀 구속 옵션이 있습니다.
선택하겠습니다.
핀구속을 할때는 기준을 '회전축'과 '기준면'으로 구속을 합니다
축을 따라 회전을하고 축의 평행방향 이동을 구속해주는 과정을 거치면 되겠습니다.
파트 2의 돌출 축과
파트 1의 구멍 축을 선택하겠습니다.
마찬가지로 초록색으로 표시된 부분들을 선택해서 구속을 마무리하겠습니다.
초기화면에서 저 '컴포넌트 끌기'를 클릭하고 한번 움직이나 보겠습니다.
움직이는 파트를 한번만 클릭하고 움직여보겟습니다.
움직이면 안되는 곳까지 가버리네요
이것까지 구속을 해보겠습니다.
파트2 정의편집으로 들어갑니다.
배치에 들어가보면 회전 축이라는 부분에 주황색 원으로 표시가 되어있습니다.
저기에서 얼마만큼 회전을할수있는지 한계를 줄수가 있습니다.
회전축부분을 클릭해보면 컴포넌트 제로와 어셈블리 제로를 선택하라고합니다.
어려운건 아니고 기준이 되는 면들을 선택하면 되겠습니다.
파트1과 파트2가 만나는 면을 선택하면 알기가 쉬울것 같습니다.
각도가 생겼습니다. 현재 각도는 -155.479네요
회전축쪽에 보면 조그만 하얀색 네모가 생겼는데 여기를 클릭한상태로 움직여보면
어떤 모습일때 몇도인지 볼수가 있습니다.
그것으로 나중에 응용하실때 보시면서 각도 한계를 주시면 되겠습니다.
회전축에 보면 현재위치, 최소한계 최대한계가 나와있습니다
제로 위치 설정은 현재 모습의 위치를 0으로 설정해줍니다
필요하실때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최소 -180 최대 -90을 주면 90도 내에서만 파트가 움직이게 됩니다.
-90도일때
-180도일때 그 이상으로 넘어가지 않는 것을 확인하셨스면 성공입니다.
핀구속은 움직이는 구속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잘 익혀두시면 많은 부분에서 응용이 가능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슬라이드 구속을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ps. 움직이는 조립체에서 이런 경고창이 뜰 때가 있습니다.
'모델이 재생성되지 않았습니다.'
이럴 때는 맨위 작업표시줄에 있는 이 아이콘을 눌러줍니다
모델 재생성 버튼인데 이걸 누르고 저장하면 다시 저장이 됩니다.
도움 되셨다면 광고 한번씩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Engineering > PTC Creo'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eo 3.0] 18 - 어셈블리 : 핀+슬라이드 (0) | 2017.12.01 |
---|---|
[creo 3.0] 17 - 어셈블리 : 슬라이드(slide) 구속 (0) | 2017.12.01 |
[creo 3.0] 15 - 어셈블리 : 면 맞춤(정렬) & 축 맞춤(정렬) (1) | 2017.12.01 |
[creo 3.0] 14 - 축척 (scale) (0) | 2017.11.30 |
[creo 3.0] 13 - 단위 (unit) 바꾸기 (0) | 2017.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