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어셈블리 두번째 구속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한 어셈블리는 완전고정이라면


이번 핀구속은 움직이도록 구속을 해주는 차이가 있습니다.


앞으로 하는 어셈블리 구속은 전부 움직임을 구속해줍니다.


움직임마다 차이가 있을텐데 이 핀구속은 '회전'부분에 쓰입니다.


바퀴가 돌아가거나 축이돌아가거나 경첩이 움직이거나 관절이 움직이거나


회전반경이 생기는 구속에는 무조건 이 핀구속을 사용합니다.


한번 사용해보겠습니다.




우선 아래의 두개 파트를 만들어주세요



▼파트 생성 영상



어셈블리과정은 아래 동영상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동영상에 대한 설명은 그 아래 사진부터 시작합니다.


▼ 핀구속 어셈블리 영상



사진으로도 한번 보겠습니다.



우선 어셈블리 파일을 하나 생성합니다.


단위 변경에 주의해주세요



16번 폴더에 1번 2번 파트를 만들어놨습니다


우선 1번 파트 파일을 불러오겠습니다.



1번 파트를 불러왔습니다.





베이스 판이 될 파트이기 때문에 기본값으로 주고 구속을 마치겠습니다.



바로 2번 파트를 불러오겠습니다



왼쪽 위를 보시면 핀 구속 옵션이 있습니다.


선택하겠습니다.



핀구속을 할때는 기준을 '회전축'과 '기준면'으로 구속을 합니다


축을 따라 회전을하고 축의 평행방향 이동을 구속해주는 과정을 거치면 되겠습니다.



파트 2의 돌출 축과



파트 1의 구멍 축을 선택하겠습니다.



마찬가지로 초록색으로 표시된 부분들을 선택해서 구속을 마무리하겠습니다.








초기화면에서 저 '컴포넌트 끌기'를 클릭하고 한번 움직이나 보겠습니다.



움직이는 파트를 한번만 클릭하고 움직여보겟습니다.



움직이면 안되는 곳까지 가버리네요


이것까지 구속을 해보겠습니다.



파트2 정의편집으로 들어갑니다.



배치에 들어가보면 회전 축이라는 부분에 주황색 원으로 표시가 되어있습니다.


저기에서 얼마만큼 회전을할수있는지 한계를 줄수가 있습니다.


 

회전축부분을 클릭해보면 컴포넌트 제로와 어셈블리 제로를 선택하라고합니다.


어려운건 아니고 기준이 되는 면들을 선택하면 되겠습니다.



파트1과 파트2가 만나는 면을 선택하면 알기가 쉬울것 같습니다.



각도가 생겼습니다. 현재 각도는 -155.479네요


회전축쪽에 보면 조그만 하얀색 네모가 생겼는데 여기를 클릭한상태로 움직여보면


어떤 모습일때 몇도인지 볼수가 있습니다.


그것으로 나중에 응용하실때 보시면서 각도 한계를 주시면 되겠습니다.



회전축에 보면 현재위치, 최소한계 최대한계가 나와있습니다


제로 위치 설정은 현재 모습의 위치를 0으로 설정해줍니다


필요하실때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최소 -180 최대 -90을 주면 90도 내에서만 파트가 움직이게 됩니다.



-90도일때



-180도일때 그 이상으로 넘어가지 않는 것을 확인하셨스면 성공입니다.


핀구속은 움직이는 구속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잘 익혀두시면 많은 부분에서 응용이 가능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슬라이드 구속을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ps. 움직이는 조립체에서 이런 경고창이 뜰 때가 있습니다.


'모델이 재생성되지 않았습니다.'






이럴 때는 맨위 작업표시줄에 있는 이 아이콘을 눌러줍니다


모델 재생성 버튼인데 이걸 누르고 저장하면 다시 저장이 됩니다.





도움 되셨다면 광고 한번씩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포스팅을 올립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어셈블리를 해보겠습니다.


어셈블리는 지금까지 만든 "파트"들을 "조립"하는 과정입니다.


처음엔 어려울수도있습니다만 쉽게 블럭 놀이한다고 생각하면서 하면 금방 익숙해질수 있을겁니다.


어셈블리에서 가장 많이 쓰는 말이 "구속"이라는 말입니다.


구속은 말그대로 파트사이의 관계를 구속시켜서 접착 시킨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제목에서 면 맞춤 이라고 했는데 이는 면을 맞춰서 "구속"을 시키는 과정입니다.


구속이 되어있지않으면 보이기엔 조립이되어보이는데 


나중에 움직이는 어셈블리를 할때 움직이질 않거나, 움직이면 안되는데 움직인다거나 하는 일이 발생합니다.


구속을 제대로 시켜야만 어셈블리가 완료된다는 것을 명심해두십시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우선 아래 세가지 파트파일을 만들어서 폴더하나에 넣어 놓습니다.


그 폴더는 작업 디렉토리로 설정하세요.


아래 세개를 밀어내기만으로 전부 가능합니다. 잘모르겠으면 밀어내기부분을 다시 봐주세요.


(그래도 모르겠으면 댓글달아주세요)



하기는 간단한데 캡쳐를 하다보니 길어져서 동영상으로 우선 보여드리겠습니다.


동영상만으로 완성은 시킬수있지만 설명은 이어지는 포스팅을 봐주세요







동영상 과정 설명입니다.



작업디렉토리를 설정하시고 새로만들기로 어셈블리파일을 만듭니다.


지금까지는 부품을 만들었죠 밑에있는 어셈블리를 클릭하고



단위를 바꾸겠습니다



파트 파일은 여기서 불러옵니다.


그냥 열기로 불러오면 부품 파일을 읽어오는 것이기때문에 꼭 여기서



이 아이콘을 클릭해서 들어옵니다.



첫번째 파트파일을 불러옵니다.



보라색으로 파트파일이 등장했습니다.


우선 아무곳이나 클릭해서 시작해보겠습니다.(버전에 따라 이과정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위쪽 메뉴를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왼쪽 옵션에서는 구속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어셈블리 포스팅은 이것들을 중심으로 진행 될것이며 대부분 다뤄보겠습니다.



오른쪽은 구속을 어떻게 할것인지 정할수있습니다.


보면 거리를줄수도있고 각도를 줄수도있네요


우선 기본적인것만 해보겠습니다.


구속 종류는 사용자 정의인 상태로 두고


구속은 기본값을 주겠습니다.



그러면 이렇게 주황색으로 바뀌며 구속이 완료됩니다.


어셈블리를 하는데 주황색으로 안바뀌면 구속이 안된것입니다.

초록색 체크를 누르고 나옵니다.



바로 다음 어셈블리 파일을 불러 오겠습니다.



마찬가지로 아무곳이나 클릭해서 시작하겠습니다.



2번 파트의 밑면과



1번 파트의 홈의 밑면을 클릭합니다.



자동으로 수직으로 구속이 되어있습니다.



수직을 일치로 바꾸겠습니다.



파트 2 중앙에있는 3개 화살표중에 하나에 색이 사라졌습니다.


이제 저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이번엔 파트2의 옆면과



파트1의 옆면을 클릭하고



일치로 바꿉니다.



이제 파란색 화살표 방향으로밖에 움직이지 않습니다.


저 방향도 구속 시켜주겠습니다.



파트2의 앞면과



파트1 홈의 옆면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거리로 구속되있습니다. 거리를 0으로 주던가 일치로 바꾸겠습니다.



파트 2가 파트1의 홈에 조립되었습니다.


지금까지가 면 맞춤 과정입니다.



다음으로 파트3를 불러옵니다.



파트3를 확대해보면 점선으로 축이 하나 있습니다.



그 축과



파트1에 있는 구멍에 있는 축을 클릭하고





일치로 바꿉니다.


이 과정을 축 정렬을 했다고 합니다.



아직 주황색으로 안바꼈습니다. 화살표방향의 자유도를 구속시키기위해서


파트3의 밑면과



파트1의 밑면을 클릭해서



이번엔 거리 50으로 구속시켜보겠습니다.



파트3가 주황색으로 바뀌면서 구속이 완료가 되었습니다.

초록색 체크를 누르고 나옵니다.



조립체가 완성됬습니다.


대부분 움직이지않는 부분은 이렇게 구속이 가능하구요


움직이는 부분에 대한 어셈블리는 다음 포스팅부터 차근차근 해보겠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






도움 되셨다면 광고 한번씩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축척, scale을 바꾸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형상을 완성시켜놨는데 전체적으로 반절로 줄여야한다, 두배로 키워야 한다, 이런 경우에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선 100x100x100 짜리 정육면체를 만듭니다.



모델-작업-모델배율 로 들어갑니다.





배율을 입력하는 창이 생깁니다. 저는 크기를 반으로 줄여보겠습니다.



재생성은 말그대로 재생성해서 형상을 바꾸겠다는 소리입니다. 예를 누릅니다.



길이가 50mm로 줄어든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이 기능을 나사나 프로파일 만들때 사용합니다.


프로파일 2020짜리를 만들어놓고 파일을 복사해서 스케일만 두배로 키워주면 4040짜리가 만들어지는 식입니다.


적절히 활용하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 되셨다면 광고 한번씩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