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ngineering/일반기계기사10

[일반기계기사] 2 - 실기 작업형 작업과정 : 도면 base 만들기 먼저 저희 작업의 기초가 되어 줄 베이스 도면을 만들어 보겟습니다. 이 도면을 먼저 만들어두면 나중에 작업의 흐름이 끊기는 느낌이 덜 합니다. 시험지에도 명시는 되어있지만 외워가는게 좋고 이 작업은 최소한 10분안에 끝마쳐 주셔야 합니다. 또한 시험마다 지정해야하는 선의 굵기, 문자, 색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시험장에서는 꼼꼼히 확인하세요. 오토캐드 2015를 주로 이용하구요 2D 작업은 왠만하면 전부 오토캐드입니다. 2D 작업시에 스페이스바와 esc를 적절히 활용하시고 아래 정리된 단축키도 알아 두시면 좋습니다. 단축키는 아래 설명 부분에서 하나하나 등장합니다. *단축키 LIMIT : 도면 한계 설정DIMSTYLE : 치수 스타일 설정LAYER : 도면층REC : 직사각형 그리기OFFSET : 간격.. 2018. 1. 6.
[일반기계기사] 1 - 실기 작업형 작업과정 : 주요내용 정리 작업형 시험 볼때 외워야 될것을 제 나름대로 정리해 본것입니다. 이는 정답이 아니고 빠져있는 부분도 많습니다. 그저 이정도 외워가서 적용시켰더니 30점 이상은 나왔다는 것만 말씀 드리겠습니다. 본체,커버,v벨트,스플라인 : GC250축 : SCM435스퍼기어 : SCM435 본체,베이스,슬라이더,플레이트 : SM45C드릴부시, 서포트 : STC105조,브래킷,xx대 : SCM415 H7 : 본체, 기어, 풀리 구멍 (축과 합쳐지는 곳)h6 : 축(탭 있는 외경)js5 : 축(베어링 내경)N9 : 키 홈JS9 : 축 구멍 키 홈P7 : 핀 0~+0.1 : 키 홈(너비, 높이, 구멍 홈도 마찬가지)+- 0.5 : V 풀리 각도 평행도 : 0.013(본체 외경&밑면데이텀)수직도 : 0.015(본체 옆면&밑면데.. 2018. 1. 6.
[일반기계기사] 0 - 실기 작업형 작업과정 : 소개 작업과정은 저마다 다릅니다. 제가 작업한 과정을 좀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전체적으로 소개하고 하나씩 과정 포스팅하겠습니다. 1. 2D base 작업(AutoCAD) 2D base 작업은 우리가 만들 답안지의 기본 템플릿을 그리는 과정입니다. 툴은 AutoCAD 2015버전을 사용했습니다. 3D 투상도를 작성할 때도 이 템플릿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여러가지 해줘야 할것이 있는데 이부분도 외워야합니다. 몇번 하다보면 어렵지 않게 외워지니 겁먹지 않으셔도 됩니다. 이 부분도 세세하게 포스팅하겠습니다. 2. 3D 작업(Inventor) 3D 작업 툴은 인벤터 2015를 사용했습니다. 지금 제 블로그에도 인벤터 사용법에 대해 올리고 있습니다(171231 기준 미비합니다. 조만간 빠르게 올리겠습니다.) 찾으시는 내용.. 2017. 12. 31.
[일반기계기사] 실기 작업형 독학하기 이제 마지막 관문인 작업형입니다. 작업형은 조립도를 보고 '3D 투상도+2D 도면'을 결과로 내는 시험입니다. 조립도를 1:1사이즈로 직접 자로 치수를 재야합니다. 그래서 자, 각도기가 필수 준비물입니다. 구글에 작업형 검색을하면 나오는 이미지 창인데 빨간색 표시한게 정답 도면이고 파란색 표시한게 문제지 입니다. 저 파란색을 보고 왼쪽같이 도면을 뽑고 3D 투상도를 그려야 하죠. 시험시간은 총 다섯시간입니다. 우선 문제로 나오는 조립도의 큰 카테고리는 두 가지 입니다. 1. 동력전달장치- 장점 : 답이 정해져있어서 안전하게 시험을 치룰 수 있다.- 단점 : 할게 너무 많아서 연습이 충분하지 않으면 망할 수 있다. 2. 치공구- 장점 : 형상이 쉬운게 많고 해야 할 작업도 적다.- 단점 : 운이 안좋으면 .. 2017. 12. 31.
[일반기계기사] 필답형 공식정리 공유 필답형도 마찬가지로 참고용으로 올려드립니다. 첫번째 정리는 초기 정리입니다. 보기 편한 버전인데 식이 많이 빠져있습니다. 이 식을 외우기 위한 용으로 다시 만든게 두번째 입니다. 가장 업그레이드 된 버전이라서 참고할만한 식이 더 많습니다. 두번째는 외우면서 쓴거라 글씨가 좀더 작고 보기 불편하긴 합니다... 다시한번 말씀드리지만 자신만의 정리를 만드는게 제일 중요합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17. 12. 23.
[일반기계기사] 실기 필답형 독학하기 실기 필답형은 필기와 비슷합니다. 필기에서는 공학의 기초지식을 물어봤다면 필답에서는 공학에서만 사용되는 지식을 물어봅니다. 학과에 기계요소설계 같은 과목을 들은적이 있다면 더욱 수월하실겁니다. 필답형 과목은 굉장히 많습니다. 나사, (키,핀,코터), 리벳이음, 용접이음, 축, 축이음, 베어링, 마찰차, 기어, 감아걸기 전동요소, 브레이크와 플라이휠, 스프링 이 있습니다.. 아주 많죠. 여기서 10-12문제정도가 주관식으로 나오게됩니다. 시험에 관해 말씀드리면 시험지가 답안지가되는 서술형 시험입니다. 한장에 한문제(새끼문제 2개)정도가 나오고 밑부분에는 연습할 수 있는 부분이 따로 지정되어있습니다. 답을 쓰는 부분에는 무조건 볼펜으로 풀이과정과 답을 써야하며 연필로 쓰면 채점을 안합니다. 이 필답형 시험은.. 2017. 1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