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슬라이드 구속을 해보겠습니다. 슬라이드 구속은 미끄러지는 모든 곳에 사용됩니다. 피스톤 운동이나 레일, 가이드 등에 사용되고 핀구속과 더불어 가장 자주 사용되는 구속입니다. 슬라이드 구속에서는 '슬라이드 축'과 '회전 구속'만 하면 된다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직접 한번 해보면서 어떤 기능인지 보겠습니다 우선 아래의 도면을보고 파트파일을 만들어주세요 (글자가 출력이 안된 부분이 있네요.. 1번 파트는 밀어내기 400으로 하시고 2번 파트는 밀어내기 50으로 하시면 되겠습니다)
슬라이드 예제 도면
아래 영상은 파트 파일 생성 과정 영상 입니다. 파트 파일을 만드는데 어려움이 있으신 분은 참고하세요.
https://youtu.be/kdzWsjnGpgo
아래 영상은 슬라이드 구속 과정 영상입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핀구속과 크게 다를것 없습니다. 핀구속을 잘 따라하셨다면 어렵지 않겠습니다.
여기서 부터는 위 영상의 캡쳐 설명입니다.
어셈블리 화면
우선 어셈블리화면에서 파트 1을 불러오겠습니다. 열기로 불러오는게 아니고 '어셈블리' 아이콘에서 불러오시는 것 잊지 마시구요
파트1을 불러왔습니다. 기준이 되는 파트이기 때문에 기본값을 주고 구속을 완료합니다.
파트2를 불러 옵니다. 우선 사용자 정의로 되어있는 구속 종류를 슬라이더로 바꿉니다.
원활한 작업을 위해서 화살표로 표시한 부분을 잡고 파트2를 뒤집습니다.
이상태를 만드시면 되겠습니다.
먼저 슬라이드의 축이 되는 선을 구속 시키면 되겠습니다. 저는 파트2의 돌출부 모서리와 파트1 홈 안쪽 모서리를 기준으로 잡았습니다.
이번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자유도를 구속하겠습니다.
파트1 홈 밑면과 파트2 돌출부 밑면 선택하시면 자동으로 일치가 됩니다.
여기서 그만하셔도 되지만 조금 더 나은 결과물을 위해서 이동범위의 한계를 주겠습니다.
핀구속과 마찬가지로 배치에 변환 축을 클릭하시고
각파트의 끝면을 선택합니다.
조그맣게 하얀 정사각형이 생기는데 이것을 잡아 끌면서 어느 위치에서 어느 값을 가지는지 확인하시면됩니다.
저는 최소 한계 -350 ~ 최대한계 0으로 하니 파트2가 파트1 안에서만 슬라이드가 됩니다. 혹시 다를 수도 있으니 직접 확인해보세요
완성입니다. 컴포넌트 끌기로 한번 움직여보세요 슬라이드 구속은 핀구속과 다를게 없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핀과 슬라이드를 혼용해서 쓰는 링크 시스템을 한번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