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돌출, 회전 예제를 한번 해보겠습니다.


creo 3.0에서 했던 예제와 똑같기 떄문에 형상을 어떻게 이해해야 되는지에 대해서는 생략하겠습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 참고 해주세요.


2017/11/30 - [공학/creo 3.0] - [creo 3.0] 3 - 밀어내기&회전 예제

세가지 형상을 만들어 볼거고 돌출, 회전만으로 전부 만들 수 있는 형상입니다.


치수가 잘안보이면 임의로 넣어 주셔도 상관없습니다.


이건 테스트가 아니니까요!


한번 만들어 보겠습니다.






동영상 참고하셔서 한번 따라해보세요.


아래는 간단한 팁들 입니다.



형상이 보시면 아시겠지만 상하좌우 대칭입니다.


그래서 4분면만 그려서 대칭을 시키는게 훨씬 효율적입니다.



구소조건에 보면 기호로 잘 표현되어 있습니다.


선을 원에 접하도록 구속을 주는 건데 영상에서도 보시면 아시겠지만 원이 계속 기준 선에서 벗어나려고 합니다.


그럴 땐 당황하지 마시고 치수를 하나 더 넣어주면 되겠습니다.




또 한가지 팁은 재질이 불투명해서 내부 실루엣을 참조할때 선이 안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형상투영으로 저 안쪽면을 선택하면 보이질 않으니까 나중에 작업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때 최초 화면에서 왼쪽 위에 보시면 재질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유리로 선택해서 투명한 재질로 바꿔 주면

 

이렇게 내부의 실루엣도 투영했을 때 보이게 됩니다.


단면도를 해보기도 하고 가시성을 없애보기도 했지만


이 방법이 제일 좋은 방법 인거 같습니다.





두번째 형상입니다.





이 부분도 밀어내기로만 만들기 때문에 딱히 얘기해 드릴 부분이 없습니다.


안되시는 부분은 질문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세번째 형상입니다.


이 형상은 회전으로 간단하게 만드시면 되겠습니다.



네 여기서도 소소한 팁이 있습니다.



이렇게 치수가 난무한 상태에서 자르기를 하면 치수를 참조하고 있다면서 자르기에 실패합니다.


이때 간단한 해결법이 있습니다.



그냥 치수를 지워 버리면 되겠습니다.


치수를 지워도 정해진 치수에서 변동되는 것은 없으므로 좀 더 깔끔하게 작업하시면 되겠습니다.




네 여기까지 예제를 한번 해봤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스윕을 한번 해보겟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Engineering > Invent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ventor] 6 - 로프트 기능 사용하기 Loft  (0) 2020.02.12
[Inventor] 5-스윕/코일/스레드  (0) 2020.02.08
[Inventor] 3 - 회전(revolve)  (0) 2017.12.20
[Inventor] 2 - 돌출(extrude)  (0) 2017.12.19
[Inventor] 1 - 단축키  (0) 2017.12.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