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3D를 2D로 한번 바꿔보겠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크레오에서는 도면작업을 딱 3D에서 2D로만 바꿔줍니다.


치수를 넣거나 할 수는 있는데 아무래도 도면작업은 Autocad에서 하는게 훨씬 편합니다.


그래서3D에서 2D로 바꾸고 배치하거나 스케일을 바꾸거나 딱 요정도만 해보겟습니다.


우선 저는 라운드 하면서 만든 예제를 도면으로 바꿔보겠습니다.




이런 모양이였구요 여러분들은 각자 갖고 계신것 아무거나 하셔도 좋을것 같습니다.


파일 위치만 알고 계시면 되겠습니다.



작업디렉토리 설정 후 새로 만들기로 들어가면



드로잉 항목이 있습니다.


기본 템플릿을 바로 사용해도 좋습니다만 저희의 목적은 autocad로 실선과 은선만 갖고 가는 것이기 때문에


기본 템플릿은 무시하겠습니다.


궁금하신 분은 갖고 가셔도 무방합니다. 오토캐드에서 지울 수 있는 부분입니다.ㅊ 



찾아오기에서 아까의 그 모델을 불러오겠습니다.



방향이나 크기를 정할수 있습니다.


저는 가로방향으로 A3 크기로 해보겠습니다.


크기는 오토캐드로 가져갈거기때문에 사실 상관없습니다.



드로잉화면입니다.


뭔가 많은 메뉴가 보이지만 저희가 쓸 것은 한정적입니다.


 

예전에는 파일 불러오면 바로 3각법으로 도면을 갖고 왔던 것 같은데 백지 화면이네요...


그래도 방법은 있습니다.


우선 여기서 일반 보기를 클릭합니다.



결합상태 없음으로 확인하고



빈 화면을 클릭하면 그림이 생성되면서 드로잉 옵션 창이 뜹니다.



모델 보기 이름 부분에서 방향을 바꾸고 적용을 눌러가면서 원하는 방향을 찾아주세요.



되었다면 확인을 누르고 나오겠습니다.





작업 평면이 그대로 노출되고 있던걸 디스플레이 없애는 기능(옵션 바의 맨오른쪽)으로 없애버렸습니다.

확인을 누르고 나오겠습니다.



이런식으로 한 방향 더 그려보겠습니다.



LEFT방향으로 우측면도를 하나 그려보겠습니다.


구멍의 숨은선들이 보이면 좋겠습니다.



옵션에 보기 디스플레이로 들어가면


디스플레이 유형이 있습니다. 여기서 은선제거를



숨김으로 바꿔주시면



숨은 구멍들이 은선으로 표시됩니다.



위치를 조정하고 싶으시면 보기 이동 잠금을 누르면



각 보기 방향별로 움직일 수 있게 됩니다.



이걸 그냥 저장하면 DRW파일로 저장이되는데 이 확장자는 오토캐드에서는 열리지 않습니다.


오토캐드 확장자인 dwg로 바꿔주기위해서는


파일 - 다른이름으로 저장 - 내보내기


로 들어옵니다.


내보내기 창이 나오셨나요?



좌측상단에보면 확장자들이 보입니다.


여기서 DWG로 바꾸고



오른쪽에 내보내기를 누르면

맨밑에 오토캐드 파일인 drw0002.dwg 파일이 생성되었습니다.


이제 이 파일을 열어서 오토캐드에서 도면작업을 하시면되겠습니다.




그럼 크레오에서는 도면작업 툴을 지원하지 않느냐?


그건 아닙니다.


주석 탭에 가면 치수나 공차 등을 넣을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치수를 누르고 저 왼쪽 수직선과 오른쪽 수직선을 ctrl을 누르면서 선택하고 마우스 휠 클릭하면 치수가 생성됩니다.


이 밖에도 간단한 도면작업이 가능합니다만 너무 비효율적입니다.


하지만 귀찮을 뿐 어렵지는 않기 때문에 이정도만 소개하고 나머지는 몇개 클릭하다보면 알 수 있는 수준이기 때문에 다루지 않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도면화 작업을 해봤구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뭘 해볼지 아직 정하진 못했습니다....


조만간 또 새로운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 되셨다면 광고 한번씩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드디어 creo 3.0의 마지막 '애니메이션'을 한번 써보겠습니다.


사실 애니메이션 말고도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은 정말 많습니다.


하지만 이 기능 까지가 결과물을 만드는데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애니메이션을 마지막으로 정했습니다.


애니메이션이 끝나면 인벤터를 새로 시작하겠습니다.


인벤터를 하면서도 소소한 팁이나 잘안쓰이고 어려운 기능들도 한번 리뷰해보겠습니다.


--------------------------------------------------------------------------------------------------------


사실 애니메이션 기능 없이도 저는 지금까지 동영상을 잘 올려왔습니다.


하지만 애니메이션 기능이 필요한 이유는 '시점 변환' 기능 때문입니다.


카메라 워킹 효과를 준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 영상처럼 3D 시뮬레이션으로 카메라 시점이 전환되면서 제품 설명을 하는 영상 많이 보셨을 겁니다.

카메라를 움직여서 원하는 영상을 한번 만들어보겠습니다.

<링크>
저번 포스팅 마지막에 pbk 파일까지 잘 저장해두셨나요?

안하셨다면 어렵지 않으니 한번 해보시고

다른작품으로 애니메이션 파일 추출하셨으면 바로 참고하셔도 좋겠습니다.

아래 영상은 애니메이션 작업 과정입니다.


아래 영상은 애니메이션 작업으로 만든 영상을 추출하는 과정입니다.

캡쳐로 다시한번 설명드리겠습니다.


메커니즘 옆의 애니메이션을 눌러보겠습니다.


애니메이션 창이구요


왼쪽 위쪽에 둘중 하나의 그림으로 나와있을 겁니다.

여기서 목록을 열어서 'MDO에서 가져오기'를 선택합니다.


그럼 이런 창이 뜨게되고

미리 저장해뒀던 pbk 파일 AnalysisDefinition4를 불러오겠습니다.

* 여기서 나온 pbk 파일은 전 포스팅에서 나온 결과물입니다.

그러면 분홍색선으로 애니메이션이 하나 생성됩니다.


모델링 창의 상단 바에서


이 친구를 한번 눌러보겠습니다.


그러면 보기 관리자의 정위에서 카메라 화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새로만들기를 눌러서

base 라는 이름의 화면을 만들겠습니다.

그냥 기본적으로 모델을 돌리듯이 돌려서 (마우스 휠, shift 등으로) 카메라 화면 조정하고 만들면 됩니다.

2_closeup이라는 이름으로 확대된 화면도 만들어주시고


3_revolve 라는 이름으로 조금 시점을 돌려서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보도록 시점을 만들겠습니다.

이 세가지 시점을 부드럽게 연결시키면서 애니메이션의 시점을 변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상단 메뉴에서 그래픽 설계쪽을 보면 이런 아이콘이 있습니다.

보기 @ 시간을 눌러보겠습니다.


이런 창이 뜨는데요


'시작 이후 0.05초간 1번 시점을 보여주겠다'고 정의합니다.


적용누르면 애니메이션 선 위에 시점 표시가 되구요


닫고 다시 보기시간으로 들어가서


'1번 시점 이후 2번 시점을 0.1초동안 이동하겠다'고 정의합니다.


역시 표시되었습니다.



마찬가지로 다시 보기시간에 들어가서

'2번 시점 이후 0.1초동안 3번 시점으로 이동하겠다'라고 정의합니다.


그러면 3개 시점이 전부 표시되었습니다.


중앙의 플레이 버튼을 눌러서 한번 확인해보세요.

잘 되었으면 이제 영상을 추출해보겠습니다.


이 부분에서 생성 옆에 있는 재생을 누르면


화면이 또 바뀝니다.


여기서 저장 버튼이 활성화 됩니다.


누르면 이런 창이 뜨게 되는데요


유형을 영상 확장자로 바꿔주시고 프레임을 50fps로 높여줍니다. 


photorender 프레임은 실사처럼 각 프레임을 처리해주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오래걸립니다.

압축부분에서 압축하지 않음으로 되어있는데

이 부분은 제가 잘 모르겠습니다. 영상 코덱을 설정하는 부분인데 이것저것해봤는데 다 똑같은거 같더라구요..

네 그렇게 해서 나온 결과물은 다음 영상과 같습니다.


화질이 정말정말 안좋습니다..

이미지 크기를 늘려봐도 포토렌더를 해봐도 화질은 나아지질 않더라구요..

점점 영상 용량만 커질 뿐입니다.

위에 두개 영상은 영상 녹화프로그램으로 했을 때 20~30메가 바이트인데

creo에서 추출한 영상은 300메가가 넘어버립니다.

그래서 저는 creo에서 직접 추출하지않고 깔끔하게 재생되는 부분에서 녹화프로그램으로 녹화해버립니다.

네 여기까지 creo의 기본적인 기능을 전부 써봤습니다.

도움이 되신 분들이 간혹 연락을 주셔서 보람있는 포스팅이었습니다.

다음부터는 인벤터로 찾아뵙겠습니다.

creo파트의 다음 포스팅은 도면화 작업을 준비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 되셨다면 광고 한번씩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메커니즘의 진짜 마지막, 동적 시뮬레이션을 한번 해보겠습니다.


사실 동적 시뮬레이션은 저도 어려워서 몇번 안 써봤습니다.


조금 저 혼자 기록하는 느낌으로 진행 해보겠습니다.


혹시 모르는게 있으면 역시 댓글 달아주세요. 최대한 아는 선에서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위의 움짤 처럼 진자(pendulum) 운동을 한번 구현해보겠습니다.


필요한 진행 순서는


파트 파일 제작 - 어셈블리 - 3D 접촉 연결 - 질량 특성 - 중력 - 메커니즘 분석(동적) - 프레임 설정 - 애니메이션 파일 추출


순이 되겠습니다.


한번 해보겠습니다.


우선 아래 두개 파트를 만들어주세요.





아래 영상은 파트 파일 제작 영상입니다.


아래 영상은 어셈블리 영상입니다.


역시 핀구속입니다.


마지막으로 메커니즘 입니다.


3D 접촉과 동적 분석을 사용합니다.


캡쳐로 다시한번 확인해보겠습니다.


메커니즘 실행하기 전에 우선 한쪽 진자는 컴포넌트 끌기로 살짝 올려 놓습니다.

우선 3D 접촉을 할 때 마찰계수를 넣을 수 있습니다.


정지마찰력 운동마찰력 각각 0.5씩 줬습니다.



다음 연결 메뉴 옆에 있는 질량특성을 눌러보면


이런 창이 뜨게됩니다.


동적 영향을 받게되는 진자에 질량 특성을 주기위해 진자하나를 클릭해보시면


이렇게 처음엔 기본값으로 특성이 정의되어있습니다.


여기서 밀도나 질량 특성자체를 맞게 바꿔줄 수 있습니다.


밀도를 바꿀 수 있습니다만 저는 일단 기본값으로 진행하겠습니다.


다른 진자도 마찬가지로 질량 특성을 정의해주세요.


다음은 질량 특성 옆에 있는 중력을 클릭하고 중력을 설정해줍니다.


중력 가속도를 직접 넣을 수도 있고


방향도 설정할수있습니다.


방향은 좌표계가 초록색으로 표시되는데 거기에 맞게 1 ,0 ,-1을 넣어서 방향을 설정해주면 되겠습니다.



다음으로 메커니즘 분석을 켜겠습니다.


이름이 AnalysisDefinition4라고 되어있는 것을 기억해주시고



유형을 동적으로 바꿔보겠습니다.



외부 하중 탭으로 가서



중력과 모든 마찰을 활성화 시킵니다.


그러면 아까 3D 접촉 때 설정한 마찰이 활성화되고


중력도 활성화가 되겠습니다.



기본 설정 탭으로 넘어와서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길이와 시간에서 길이와 프레임 수로 바꿔 줍니다.


이 과정은 컴퓨터 사양이 낮으면 빠른 처리가 되지 않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슬로우 모션처럼 보이게 바꿔주는 과정입니다.



기간 0.4 프레임 수 500으로 합니다.


기간은 움직임의 빠르기 정도로 생각하시면 되고


프레임 수는 얼마나 많은 장면을 추출 할 지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확실하진 않습니다)


그러고 실행을 꼭 한번 누른 후 확인을 누르겠습니다.



메커니즘 분석 옆의 재생을 누르면



이런 창이 뜹니다.


그러면 아까 분석한 AnalysisDefinition4를 불러 올 수 있습니다.


이 파일은 저장 버튼을 눌러 저장을 미리 해두세요.



그후 재생창에 저 아이콘을 누르면


애니메이션을 볼수가 있습니다.


 

속도를 최대로 올리고 재생 표시를 눌러서 확인하시면 끝입니다.


저는 움짤을 만들 때 이 기능까지 안오고 메커니즘 분석의 실행에서 영상을 찍어왔습니다.


이유는 보시면 아시겠지만 좀 뚝뚝 끊어지는 느낌이 강하게 듭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진행할 애니메이션에서도 동영상 추출까지 진행은 하겠습니다만


크레오에서 제공하는 동영상 기능은 아쉬운 수준입니다.


제가 모르는 어떤 방법이 있을 수 있지만요...


이번 포스팅에서 진행한 이 친구는 잘 저장을 해두시길 바랍니다.


 


pbk 파일이 다음 포스팅의 메인입니다.


자세한 애니메이션 이야기는 다음 포스팅에서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동적 시뮬레이션 기능을 통해서 더 나아가 나중엔 어떤 점의 추적 커브를 그린다거나


어떤 점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측정을 할 수도 있습니다.


그건 추후에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그럼 메커니즘은 여기서 마무리하겠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





도움 되셨다면 광고 한번씩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