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메커니즘의 마지막, 벨트를 한번 써보겠습니다.


엄밀하게 말하면 메커니즘이 끝나는건 아니고 메커니즘의 연결 기능의 끝입니다..


벨트도 예를 들어서 한번 해보겠습니다.


 


움짤을 잘보시면 왼쪽이 돌아가는거에 비해 오른쪽이 더 빨리 움직이는 걸보고 벨트 메커니즘이 구속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벨트는 사실 너무 간단한 이야기라서 마지막 치고는 좀 허무할 정도로 쉽습니다.


원동차, 종동차의 벨트가 맞닿는 면만 선택해주면 알아서 벨트 구속이 완료 돼버립니다.


한번 시작해보겠습니다.





우선 이렇게 세개 파트를 만들어주세요


풀리에 6개씩 뚫려있는 구멍은 돌아가는지 확인하려고 뚫은거기 때문에 하나만 뚫어도 무방합니다.


원래 풀리는 이런식으로 제도하면 큰일납니다..


다 규격이 있고 치수의 공식이 정해져있습니다


저는 그냥 빠르게 만들기 쉽게 개인적으로 만들어 본 것임을 우선 밝히겠습니다.



우선 아래 파트파일 생성 영상을 보고 만들어 주세요


세개를 한번에 그려서 6분 정도 걸리네요


어셈블리 영상입니다.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핀구속으로 마무리합니다.



마지막으로 메커니즘 영상입니다.


마지막으로 써보는 메커니즘 기능입니다.


잘 따라오셨나요?


이번에는 새로운 부분들만 한번 캡쳐로 보겠습니다.



어셈블리 이후 메커니즘 창으로 들어옵니다.


서보모터는 미리 주셔도되고 나중에 주셔도 됩니다.


저는 서보모터 속도 30~100을 줬습니다. (30은 동영상, 100은 움짤)


연결 - 벨트를 클릭하고


 ctrl을 누르면서 벨트의 접촉변을 선택해줍니다.


그러면 이렇게 자동으로 벨트 경로가 생성이됩니다.


참조를 눌러보면 풀리가 선택되어있고 벨트 평면 항목이 있는데


이 항목은 벨트 중앙평면을 선택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대부분 접촉면의 중앙으로 자동 선택되어지기 때문에 특별히 건드리지 않으셔도 됩니다.


위를 보면 벨트 길이가 나오고 E*A 항목이 나오네요


단위를 보니까 장력이 아닐까 싶습니다. 확실하진 않네요..


메커니즘 연결이 정말 간단하게 완료됬습니다.


드디어 메커니즘의 연결을 전부 사용해봤습니다.


조금 복잡하고 어렵지만 간단 예를 위주로 설명드렸습니다.


이해가 쉬웠는지는 잘모르겠습니다만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은 가장 어려운 부분이 아닐까 싶습니다.


예고 드린대로 동적시뮬레이션을 진행할 건데 조금 변경해서 진행할까합니다.


진짜 마지막 메커니즘 파트를 다음 포스팅에서 한번 해보겠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 되셨다면 광고 한번씩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