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래 같이 메커니즘을 이용해서 기어를 한번 구현해보겠습니다.


 


핀구속으로 기어 두개를 어셈블리를하면 메커니즘을 주기전까지는 각각 따로 움직이게 됩니다.


그래서 기어 메커니즘으로 기어가 맞물려 돌아가는 것을 구현 합니다.


우선 아래 도면을 보시고 기어를 만들어 주세요


 


3번 파트는 기어 두개를 조립해줄 베이스 판입니다. 어셈블리하고나서 숨기도록 하겠습니다.


기어는 일반기계기사 준비하면서 주워들은 내용으로 모델링 한것이라 정확한지는 잘모르겠습니다...


각각 파트 만드는 과정 영상입니다



파트를 만드셨으면 바로 핀 구속을 해주세요


아래 영상은 어셈블리 영상입니다.




이제 기어 메커니즘을 줘보겠습니다


아래는 그 영상입니다.



여기는 몇가지 설명 드리겠습니다.


영상 처음을 보면 모양은 기어지만 기어처럼 움직이지않고 조그만 기어 하나만 독립적으로 움직인걸 보셨을 겁니다.




우선 기본베이스였던 3번 파트를 숨기기로 안보이게 했구요



메커니즘의 기어를 누르면

 


기어 쌍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기어1과 기어2의 축을 각각 선택해주고 각각의 피치원을 입력해주면 기어 메커니즘 완성입니다.


기어 1은 작은 기어 (피치원 20) 기어 2는 큰 기어 (피치원 40) 입니다.


순서가 바뀌어도 피치원만 잘 넣으면 상관없습니다.


피치원을 잘 써넣으셔야 기어비에 맞게 잘 맞물리게되고


만약 피치원이 틀렸고 애초에 기어 제도가 잘못되서 모델링이 잘못되었다하면


무한 회전하다보면 어느새 기어가 어긋나게됩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알려드린 서보 모터 구속을 응용해서 기어를 자동으로 돌아가게 할 수도 있겠죠?



기어 메커니즘은 사실 기어를 모델링하는게 어렵지 그걸 서로 연결시켜주는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동영상 위주라서 잘 안되는 분이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럼 댓글 남겨주세요 그 부분 답변드리고 포스팅 수정도 병행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 되셨다면 광고 한번씩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