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메커니즘부터는 포스팅 방식이 조금 달라집니다....


메커니즘 구속까지 오셨다는 건 어느정도 프로그램을 다루신다는 것으로 생각하고


조금 생략해가면서 설명하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제 메커니즘을 시작해보겠습니다.


우선 메커니즘은 어셈블리 구속에 서보모터를 정의해주고


그 서보모터값을 조절하여 자동으로 움직이도록하는 역할을 해줍니다.


그래서 어셈블리 한 파일을 갖고 메커니즘을 진행하게 됩니다.


말로 하는 것보단 직접 보는게 더 빠를 것 같습니다.


우선 어셈블리 파일을 하나 만들겠습니다.


<링크>

2017/11/30 - [creo 3.0] - [creo 3.0] 16 - 어셈블리 : 핀(pin) 구속



이 글을 참고하시면서 모델을 만들어주세요.

이 모델은 폴더 형식으로 접혔다 펴졌다 하는 움직임을 보입니다.

이것을 메커니즘으로 자동으로 움직이도록 한번 만들어 보겠습니다.

우선 동영상 참고해주세요




우선 메커니즘 할때는 모든 디스플레이를 꺼도 무방합니다. 평면 축 점 좌표계 뷰를 끄고 깔끔한 화면에서 시작하시는걸 추천합니다.




이 메커니즘을 클릭하시면

또 새로운 메뉴가 나타납니다. 여기서 저희는

 


요 메커니즘 분석과 서보 모터 이 두 가지만 우선 사용할 겁니다.

서보 모터로 움직임을 주고 메커니즘 분석으로 시험삼아 움직여보는 과정을 거치게됩니다.




메커니즘으로 전환되면 새로운 기호가 보입니다.

경첩부분에 주황색으로 화살표를 감싸고 도는 화살표가 또 생깁니다.

이는 이제 핀구속을 뜻하고 여기에 서보 모터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어셈블리와 다르게 파트의 모서리나 축이아니라 저렇게 구속 조건에 서보 모터를 주는 것이죠.

보 모터를 주게되면 저렇게 회오리 모양의 선이 또 생깁니다.





서보 모터를 선택하면 동작 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핀구속 되어있는 곳을 선택하면 됩니다.

지금까지 해왔던 슬라이드 구속이나 기타 등등의 구속들도 마찬가지입니다.


프로파일로 넘어오면 이제 여러가지 옵션을 줄수 있습니다.


위치, 속도, 가속도를 줄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시간에 따른 함수입니다.



속도를 선택하게 되면 초기각도도 설정할수 있습니다.


초기각도를 현재로 체크해두었는데 이렇게 하면 할때마다 초기값이 계속 바뀝니다.

여러번 시뮬레이션 돌려보시려면 초기 각도를 설정해주시는게 좋습니다

강도에서는 값을 줄수 있습니다. 속도면 속도값, 가속도면 가속도값 등등

강도에도 여러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저는 주로 상수나 테이블을 이용합니다.


여기서 시간에 따라 어떻게 움직이는지 그래프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프 옵션을 눌러보다보면 그래프 모양도 개별적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을 클릭하면 나오는 창입니다. 여기서 유형을 바꾸면 동적시뮬레이션까지 가능한데 이는 나중에 포스팅하겟습니다.


여기서 바꿀거는 없구요 종료 시간 정도 바꾸면서 영상길이 조절하시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이 기능만으로는 원하는 시뮬레이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것 같습니다.

아래 영상을 참고해주세요




원래 이 과정을 스냅샷으로 찍어서 할 수도 있는데 개인적으로 더 복잡하다고 느껴집니다.

그리고 정확한 값으로 테이블을 작성하기때문에 좀더 저희가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죠.

테이블을 작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각 초마다 어떤 위치로 움직일지 정한다.

2. 그 위치의 각도값을 확인한다. (슬라이드의 경우 길이 값)

3. 서보 모터 프로파일을 위치 테이블로 작성한다.

영상을 예로들면

1번 같은 경우에는 각자 생각하신대로 정하면 됩니다. 저는 영상에서 접혀있는상태에서 펴졌다가 다시 접히는 움직임을 생각했습니다.

2번은 컴포넌트 끌기로 '접혔을 때 각도' '펴졌을때 각도'를 확인합니다.

이 과정은 사실 핀구속되어있는 파트의 정의 편집으로 들어가서 핀구속 배치를 확인해서... 너무 복잡합니다.

편법으로 서보모터를 속도 프로파일로 보면 




이렇게 현재 각도(-180도)가 나옵니다. 이걸로 확인하시는게 제일 빠릅니다.


 

이렇게 테이블로 시간과 각도를 주게되면 기본적으로 점마다 직선으로 이어버립니다.

그래서 이걸 보간으로 좀더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할수 있습니다.


왼쪽부터 선형, 스플라인, 단조 피팅을 선택했을 때 그래프 결과입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점점 더 부드럽게 움직이는 걸 볼 수 있습니다.

맨왼쪽은 딱딱 끊어지는 모습이라 시뮬레이션으로 보면 조금 허졉한 느낌을 줍니다.

마찬가지로 메커니즘 분석에서 실행해보시면 테이블 설정한 것대로 움직이게 됩니다.

너무 빠르다 싶으면 테이블을 0/5/10초로 줄게 아니고 0/10/20초로 주고

메커니즘 분석에서 종료 시간을 20초로 바꾸면 조금더 천천히 움직이게 됩니다.


이렇게요. 한번 바꿔보시길 바랍니다.

넵 이렇게 해서 한번 메커니즘 맛을 봤습니다..

새로운 것들이 너무 많이 나와서 어렵습니다

조금 더 조건 설정에 생각을 많이 해야 됩니다.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는 기어 메커니즘을 한번 해보겠습니다.

잘 안되면 주저말고 댓글 남겨주세요!




도움 되셨다면 광고 한번씩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